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담대 연 2% 금리 "청년 주택드림 청년 통장"

by 림이님 2023. 12. 6.
 

내년 2월에 무주택 청년들은 "청년 청약 통장"에 1년간 가입을 하면 

청약당첨 시 분양가의 80% 롤 연 2% 저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비싼 금리 때문에 내집 마련이 너무 어려운 시기에 좋은 정책이 나왔으니 

관련 내용 설명해 드릴께요 

청년주택드림통장

 

누가 가능한가 

연소득 5천만원 이하, 만 19세 ~34세 무주택자 청년들이 가입할 수 있으며 

이자율은 4.5% 이다. 

납입금액은 회당 100만원까지 가능

 

장점

1.청약 당첨 후에도 해당통장으로 계약금을 납부하거나 잔금 자금을 모으는 등  예금기능 용도로 활

용할 수 있도록 인출이 허용된다 

2. 기존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가입자는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출시링에 별도 신청 없이 자동 전환된다. 

3.1년 이상 가입 시 분양가 6억 원 전용 85m 이하 주택 당첨 시 40년 만기 저리 (2%) "청년 주택드림 대출"과 연동

 

그럼 "청년 주택드림 대출"은?

대상자 : 만 39세 이하 무주택자

연소득 : 미혼 7천만 원, 기혼 1억 원 이하

금리 : 연 2.2% ~ 3.6% (소득 만기별 차등 금리 )

적용 주택 : 분양가 6억 이하, 전용 85m 이하

우대금리 : 결혼 시 0.1% , 최초 출산 시 0.5%, 추가출산 시 0.2% / 최대 우대금리 1.5% 까지 적용 

 

좋은 정책 하지만 부족한 점은?

1.6억 한도 차등 지급 필요하지 않은가?

 

서울 평균 집값 10억 기준으로 하였을 시 6억 기준이라면 서울 변두리, 또는 경기권에서도 그렇게 좋은 입지에

분양받을 수 없다. 물론 지방은 3~6억 사이기 때문에 가능하겠지만 청년들이 몰리는 서울 경기권에서 

유효할 수 있는 금액에 대한 지역별 차등 대출 정책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2.1.5% 금리, 2.2% 금리는 유효한가?

 

청년 주택드림 대출의 금리는 2.2%~3.6%입니다. 하지만 우대금리를 받기에는 한계가 존재합니다. 

고정 2.2% 로 진행하는 것이 유효성 있는 금리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3. 쓰러지지 않게 하는 정책 

 

청년 주택 드림대출 은 물론 좋은 상품입니다. 하지만 금액, 금리를 봤을 때 

젊은 청년층의 내 집 마련에 포커스를 두고 현재 부동산 시장의 분위기를 반전하는 것이 아닌 무너지지 않게 

받쳐주는 정책이란 느낌이 들었습니다. 

과밀지구인 서울은 살 수 없는 금액이고, 수도권 중심지도 분양받기 어려운 금액입니다. 

그렇다면 수도권 외곽과 지방을 받쳐줘서 서울의 부동산 붕괴를 막기 위한 정책은 아닌가?라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4. 이후정책은 

특례보금자리론 → 신생아 특공 → 청년 주택 드림대출 등 점점 젊은 층이 부동산을 받쳐주는 정책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후 부동산 대책은 취득세, 양도세, 등 다주택자를 위한 정책과 , 금리 인하 등 부동산 경기 부양책 위주의 

정책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https://factreviews.tistory.com/entry/%EC%8B%A0%EC%83%9D%EC%95%84%ED%8A%B9%EA%B3%B5-%EC%95%8C%EC%95%84%EB%B4%85%EC%8B%9C%EB%8B%A4

 

신생아특공 알아봅시다

특별공급은 신혼부부, 다자녀 가구등 정책적으로 배려가 필요한 계층에게 주택을 분양하는 제도입니다. 이번에 "신생아 특별공급" 이 신설되어 총 7가지의 특별공급으로 변경되었는데 그중 신

factreview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