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세에 대해서 알고 계시나요?
재산세는 가지고 잇는 재산에 대한 세금을 내는 것입니다.
물론 어려운 말로는
납세자가 소유한 재산의 경제적 교환가치에 담세력을 두어 과세하는 조세라고 들 하지요
하지만 저희는 간단히 가지고 있는 재산에 대한 세금으로 명명하겠습니다.
과세항목은, 토지, 건축물, 선박, 항공에 대해서 과세가 되고요
이것도 편하게 이야기하면 땅, 건물, 집 요렇게 3개에 대한 세금으로 보시면 되고요
뭐 누구나 배나 개인 항공기쯤은 한 대씩 가지고 있을 수 있지만.
그런 건 취미생활이니 저희는 없다고 기준 하겠습니다.
by the way
저희가 납부해야 하는 재산세는 언제 어디에 납부하면 되는지 간단히 정리해 드릴게요
재산세 언제 납부해야 하는가?
재산세는 1분기와 2분기로 나누어서 내는데요 , 납부의 두담을 줄이기 위합입니다.
1분기 재산세 납부 기한은 매년 7/16 ~ 7/31
2분기 재산세 납부 기한은 매년 9/16 ~ 9/30
이지만 2023년은 임시 공휴일 추석이 있어서 10/4까지 연장되었습니다.
주택은 : 1,2 분기 나누어서
토지는 : 9/16 ~ 9/30
건축물은 : 7/16 ~ 7/31
하지만 암기하지는 않으셔도 됩니다.
재산세는 말 그대로 세금. 이기 때문에 낼 때 되면 알아서 집으로 우편물이 온답니다.
안내면 안내서 또 오고요
아래는 재산세 과세 표준입니다.
만약 재산세 체담시 납부할 금액은
납기 내 세액 + 가산금 (납기 내 세액의 3%) + 중가산금 (납기 내 세액 X 0.0075 X 경과일 수)
기한을 넘기면 가산금이 무조건 발송되며, 50일 초과 시 독촉장까지 발송되오니
명세서를 받으시면 바로 납부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재산세 조회 및 납부방법
(위택스,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계좌이체)
재산세 소회 방법 및 납부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첫 번째 : 위택스
위택스에 접속하셔서 재산세 조회 및 납부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위택스 재산세 조회 및 납부 바로가기 https://www.wetax.go.kr/main/
공인인증으로 로그인하시고 납무 하시는 방법입니다.
납부 확인증을 인쇄하실 수 있으며 납부가 잘 되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두 번째 : 카카오페이
카카오 페이로 내시는 방법을 추천드리는 이유는
재산세를 납부하시면 포인트를 주는 이벤트와 (10,000명) 무이자 카드도 있습니다.
2~3개월 무이자카드로는 통협카드, 현대카드, 비씨 카드가 있습니다.
세 번째 : 네이버페이
위택스로 납무시 네이버 페이로 납무가 가능합니다.
네이버 페이로 편하게 결제를 하셨던 분들은 네이버 페이가 편할 것 같아요
네 번째 : 은행 인터넷 뱅킹 및 폰뱅킹
이 부분은 어르신들이 편하실 방법인데요
휴대폰 계좌 어플에서 입금하는 방식입니다.
가상계좌는 고지서에 적혀있으니 가상계좌롸 이체하시면 되고요
사실 저도 이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아무래도 계좌에 어디에 보냈는지 딱 하고 찍혀 있는 것이
가장 좋더라고요
총정리
재산세 언제 납부해야 하고 어디로 납부해야 하는가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사실 어려울 것이 없습니다.
고지서가 날아오니까요,
그리고 납부방법은 스마트 폰을 자주 자숑하신다면 카카오가 가장 좋은 것 같아요
하지만 저는 직관적인 계좌 이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어쨌든 내야 할 세금이고, 낼 세금이 있다는 건 그래도 재산세가 있다는 거니
이왕 낼 거 까먹지 말고 고지서 받으시면 빨리 내는 게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