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알쓸] 이사할때 필요한 준비시간 및 순서 (4인가족 기준)

by 림이님 2023. 11. 17.

집을 옮긴다는걸 저희는 이사 라고 부릅니다. 
이사의 사전적 의미는 : "주거를 다를 장소로 옮기는 일" 이라는 뜻 입니다.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의,식,주 3가지중 주 에 해당하는 일 입니다. 
그만큼 큰 일이죠.
오늘은 이사를 할때 어떤 준비를 해야하고 얼마만큼의 시간이 필요한지에 대해서 
천천히 이야기 해볼테니 이사 준비중 이신 분들에게 좋은 정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사준비


1.이사를 준비하는 기간은 얼마나 걸릴까요? (4인가족 기준 입니다.)
계약후 최소 한달에서 2달 정도의 기간이 필요합니다. (계약금 입금기준)
이사할 집을 구했다라는 가정으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①공사 기간이 필요하다. 소 1주일 ~ 4주일
집을 전체 리모델링 하려면 최소 4주는 필요합니다. 
하지만 청소, 줄눈, 조명 등 가벼운 공사를 하려고 해도 1주일은 필요합니다. 
이부분은 정말 중요합니다.  가전제품 또는 가구를 구매해서 배치 하기전에 공사가 끝나야 하고 
공사 기준으로 가전제품과 가구를 구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②가전 및 가구를 구매하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최소 1주일 
돈이 많다면 한번에 사면 좋겠지만 저희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발품 작업과 견적 작업 계약 작업들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가전 및 가구는 오늘사서 내일 배송되는 시스템이 아닌 작업을 해야 하는 시간도 필요하고 
계약이 성사되면 제작 시작을 하는 경우도 꽤나 있기 때문입니다. 

③공사 업체 구하는 시간 1주일 필요하다. 
하고 싶은 공사와 이사 에 대한 견적을 받고 실측을 하는 기간도 1주일은 필요합니다. 
④기타 준비기간 일주일이 필요합니다. 
누군가는 대출을, 전학을, 대금결제를 여러가지 계약조건과 변경되는 부분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최소 1주일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사이에 커텐, 그릇등 필요한 제품들도 구매해 두어야 하니까요.


2.이사할때는 순서로 하면 좋을까요 ?
이사의 순서를 정할때는 리모델링과 가전이 우선시 되어야 합니다. 
리모델링을 안한다면 상관 없지만 리모델링을 할것이고 요즘 나오는 냉장고 처럼 3단 짜리를 구입할 의사가 있다 ?
라고 기준을 잡아두면 여러가지 기준들이 바뀌에 됩니다. 
그럼 우선 4인가족 기준 예시를 들겠습니다. 
가전은 : 3단 냉장고를 구매할것이고, 식기세척기, TV 를 구매할예정 입니다. 
          (다른 가전제품들도 있겠지만 위의 예시부터 든 이유는 "3단냉장고와 식기 세척기는 매입형 이기 때문에 
           인테리어 공사 "장 공사" 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가구는 : 필요한것들 위주로 사시면 됩니다. 하지만 가전과 리모델링이 들어간다면 기존 보유하고 계시던 

              가구도 못쓸 확률이 높습니다. 혹시라도 새 아파트에 (신규분양) 에 들어가시면 가구도 다 사셔야 한다고

              생각하시는게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Tip : 가구는 리모델링과 이사가 완전히 끝나고 들어오는것이 좋습니다. 

                     가구가 있다면 청소가 조금 덜 깨끗히 될수도 있고, 이사 또는 리모델링 기간 먼지 및 기스도 발생할수 

                  있습니다. 가구는 맨 마지막에

가전과 가구를 고르셨다면 끝난줄 알았죠 ? 아닙니다. 동시에 해야 할것이 있습니다. 

바로 "리모델링" 업체와 "이사업체" 고르기 입니다.

왜 ? 같이 해야 하는지 이유에 대해서 말씀 드릴께요.

-.무조건 복수견적 을 받아라.

이사업체의 견적을 받기 위해서는 집을 방문합니다. 많게는 30% 까지도 가격 차이가 납니다.

이사업체는 꼭 집에 방문해서 견적을 내기 때문에 여러 업체가 집에 방문하려면 사전에 시간을 조율해야 하고,

계절, 시기별로 차이가 나기는 하지만 1달 전에는 예약해 두시면 좋습니다. 

-.인테리어류 (조명,탄성,도배,등) 를 진행하려면 역시 복수 견적을

공사업체에 턴키로 맞기시는것도 좋지만 개별로 만나시면 조금더 전문가를 저렴한 가격에 만나실수 있습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여러 전문가 분들께 설명과 간단한 자료등을 드려야 합니다. 

그런 과정에서 시간이 꽤나 흐른답니다. 

또, 공사업체 분들은 여러 업체가 서로 마주치면서 같은 공간에서 일하는 것은 꺼려 하십니다. 

 

가전, 가구, 인테리어 및 공사 까지 계회 잘 잡으셨다면 

이제는 공사하는날 살짝 방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무래도 집주인이 살짝만 방문해 주는것 만으로도 좀더 깔끔하게 공사하기 위해서 힘써 주시거든요.

 

드디어 이사날 이사 잘 하시면 됩니다. ^^

(대출이나 부동산 관련부분은 제외 하였습니다.)

이사 는 집을 옮기는 가장 큰 행사중 하나 입니다. 

가능하다면 무조건 2달의 여유는 가지고 이사하시고요.

가장 큰 행사이니 만큼 꼭 잘 준비하셔서 이사하시기 바랍니다. 

 

마지막 Tip 은 예산을 잡고 그 안에서 모든걸 해결하세요 / 그리고 분명 예산의 30% 는 초과할테니 

초기 예산과 +30% 예산까지 생각하셔서 잡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