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변경되는 2024년 육아 휴직 이슈

by 림이님 2023. 12. 29.

2024 년 육아휴직이 변경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달라지는 부분은 꼭 확인하시고 먼저 체크하세요 

육아휴직

사후 지급금 폐지 : 미정
급여 인상 (200만 원) : 미정
기간 확대 (1년 6개월) : 확정
맞돌봄 특례 6+6 : 확정 

현재 시점으로는 미확정인 부분들도 있습니다.

각 항목별 조건 및 시행시점으로 구분해 보겠습니다.

 

1. 사후 지급금 폐지

육아휴직 사후 지급금 이란?

육아휴직 금여의 25%를 추후 원직장에 복기하면 일시불로 지급하는 제도로서 

현재 육아휴직 실수령액은 112만 5000원입니다. 

문제점

①너무 적습니다.
112만 원은 너무 적습니다. 통계에 의하면 노후 최저 생활비가 250만 원인데 

육아를 하기에는 112만원은 너무 적습니다. 

육아휴직 중 아르바이트 등 추가 수입을 얻는 방법이 있지만 주 15시간 월 150만 원 이상은 할 수 없습니다. 

②복직을 해야지 받을 수 있다니 

매달 고용보험료로 내는 육아휴직자가 급여의 25% 를 추후 원직장에 복귀해야만 받으수 있기 때문에 

복직을 안 했을 시에 대해 페널티 문제도 있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육아휴직 급여, 휴직 중 100% 준다  

를 검토 중이지만 시점이 확정된 내용은 아닙니다. 선거전에는 확정되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견해 봅니다. 

 

2. 급여인상

육아휴직 급여 200만 원까지 인상

현재 육아휴직 수당 상한선은 150만 원입니다. 

(사후 지급금을 뺀다면 실수령액은 112만 5000원입니다.)

12월 1일에 보도가 나온 뒤 현재는 Holding 상태이지만 빠르게 진행될 것 같습니다. 

 

3. 육아휴직 기간 1년 6개월

육아휴직 기간 1년 6개월로 확대 

1년 6개 올 동안은 유급이며 통상급여의 80% (상한 애개 150만 원) 지급 예정이고 

시행은 2024년 하반기 예상됩니다. 

* 부모 모두가 육아휴직 (맞돌봄) 3개월 이상 사용하였을 경우만 연장 가능합니다. 

현재는 부모님 중 1명만 쓰면 1년 두 명 바디 면 2년 

> 두 명 다 3개월 이상 휴직했으면, 1년 6개월씩 총 3년 의 육아휴직을 사용 가능합니다. 

 

4. 맞돌봄 6+6

육아휴직 1년 6개월 연장이 부부육아휴직을 맞돌봄 특례라고 합니다. 

같은 자녀에 대해 자녀 생후 18개월 내 부모가 (모두 또는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하면 

첫 6개월에 대해 부모 가각의 육아휴직 급여를 진행하는 것.

부부가 같이 육아휴직을 하는 3~6개월 간 육아휴직 급여를 한 사람당 최대 450만 원 가지 지급합니다.

 

 

같이 보면 좋은글

https://factreviews.tistory.com/entry/%EC%82%B0%ED%9B%84%EC%A1%B0%EB%A6%AC%EB%B9%84-50%EB%A7%8C%EC%9B%90-%EC%A7%80%EC%9B%90-%EA%B2%BD%EA%B8%B0%EB%8F%84-%EC%B6%9C%EC%82%B0-%EC%A7%80%EC%9B%90%EA%B8%88-%EC%8B%A0%EC%B2%AD-%EB%B0%A9%EB%B2%95

 

산후조리비 50만원 지원 경기도 출산 지원금 신청 방법

경기도에서 출산을 하시는 산모님 들게 산후 조리비 50만 원 지원하는 정책이 있습니다. 아이가 태어나면 이곳 저곳 들어가는 돈이 너무 많이 있습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수 있게 산모님들

factreviews.tistory.com

 

 

https://factreviews.tistory.com/entry/%EA%B2%B0%ED%98%BC%EC%B6%95%ED%95%98%EA%B8%88-%ED%99%95%EC%9D%B8%ED%95%98%EA%B3%A0-%EA%B2%B0%ED%98%BC%ED%95%98%EB%A9%B4%EC%84%9C-%EC%B6%95%ED%95%98%EA%B8%88-%EB%B0%9B%EA%B8%B0

 

"결혼축하금" 확인하고 결혼하면서 축하금 받기

코로나가 끝나고 점점 결혼을 하시는 커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하짐만 "결혼" 이것저것 챙겨야 할것도. 그리고 돈도 많이 들어갑니다. 그런 "결혼" 을 축하하기 위하여 각 지방자치 단체에서

factreviews.tistory.com

https://factreviews.tistory.com/entry/%EC%8B%A0%EC%83%9D%EC%95%84%ED%8A%B9%EA%B3%B5-%EC%95%8C%EC%95%84%EB%B4%85%EC%8B%9C%EB%8B%A4

 

신생아특공 알아봅시다

특별공급은 신혼부부, 다자녀 가구등 정책적으로 배려가 필요한 계층에게 주택을 분양하는 제도입니다. 이번에 "신생아 특별공급" 이 신설되어 총 7가지의 특별공급으로 변경되었는데 그중 신

factreviews.tistory.com